본문 바로가기
건강찬이의 운동 팁

풀 스쿼트의 효과와 부작용, 올바른 자세까지 한눈에 정리

by 건강찬이 2025. 3. 31.
728x90

하체 운동의 기본이자 핵심 중 하나인 스쿼트! 그중에서도 깊이 내려가는 풀 스쿼트(Full Squat)는 운동 효과가 뛰어나지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않으면 부상 위험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풀 스쿼트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안전하게 수행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풀 스쿼트란?

풀 스쿼트는 허벅지가 바닥과 거의 수직에 가까울 정도로 깊이 내려가는 스쿼트다. 일반적인 평행 스쿼트(허벅지가 바닥과 평행)보다 가동 범위가 크기 때문에 근육 활성화가 더욱 높아지지만,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도 커질 수 있습니다. 풀 스쿼트 보다 깊이 앉는 스쿼트를 ATG스쿼트라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두 가지를 엄격하게 구분하기보다는, '단순히 깊이 앉는 동작'으로 넓게 묶어 설명하겠습니다.


풀 스쿼트의 효과

1. 근력과 근육량 증가

  •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둔근(엉덩이), 척추기립근까지 하체 전반의 근육을 강화할 수 있다.
  • 특히 둔근(엉덩이) 활성화가 크기 때문에 힙 라인을 만들고 싶은 사람에게도 적합하다.

2. 유연성과 가동성 향상

  • 깊이 내려가는 동작을 통해 고관절과 발목 가동 범위가 증가한다.
  • 운동선수나 기능적 움직임을 개선하려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

3. 스포츠 퍼포먼스 향상

  • 점프력과 순발력을 요구하는 스포츠(축구, 농구, 육상 등)에서 필수적인 하체 근력을 길러준다.

4. 칼로리 소모 및 체지방 연소

  • 많은 근육을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량이 많아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5. 자세 교정 및 기능적 움직임 개선

  • 잘 배운 스쿼트 동작은 그 자체로 교정 운동 역할을 하며, 자세 불균형을 개선하는 데 유용하다.
  • 엉덩이, 코어, 발목 등의 협응력을 높여, 일상생활에서의 움직임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만든다.

6. 효율적인 하체 운동

  • 풀 스쿼트는 하체 근육을 전체적으로 강화하는 복합 운동이다.
  • 다른 하체 운동 기구(레그 익스텐션, 레그 컬, 힙 어브덕션 등)를 활용하면 허벅지 앞쪽, 뒤쪽, 안쪽, 바깥쪽을 각각 따로 운동해야 하지만, 스쿼트는 하나의 운동으로 그 모든 근육을 동시에 자극할 수 있다.
  • 시간 효율성이 뛰어나며, 기능적인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데도 효과적이다.

풀 스쿼트의 부작용(단점)

1. 무릎과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 증가

  • 너무 깊이 내려가면 무릎과 허리에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 특히 무릎 관절염이 있거나 허리 디스크 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2. 발목과 고관절 가동성이 부족하면 수행 어려움

  • 발목이 뻣뻣하면 뒤꿈치가 땅에서 떨어지고, 무릎이 과도하게 앞으로 나가면서 부상의 위험이 커진다.
  • 고관절 가동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무리한 운동 수행 시 보상작용으로 인해 허리나 무릎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3. 허리(요추) 과부하 가능성

  • 내려갈 때 허리가 둥글어지는 ‘벗 윙크(Butt Win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체중부하 운동 정도는 괜찮지만, 이 상태에서 무거운 무게를 들면 허리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체형 및 개인 해부학적 특성 고려 필요

  • 대퇴골과 골반의 구조에 따라 깊이 내려가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 특정 체형(대퇴골이 긴 사람)은 가동성 문제로 인해 풀 스쿼트 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다.
 

[고관절 통증] 전경과 후경의 이해로 스쿼트 자세 만들기

스쿼트와 데드리프트는 전신 근력을 키우는 데 핵심적인 운동이지만, 개개인 별로 골반 구조인 전경(Anteversion)과 후경(Retroversion)에 맞지 않는 자세로 수행할 경우 부상의 위험이 커지고, 운동 효

kkumist.tistory.com

 

스쿼트 자세 최적화, 사람마다 다른 이유(다리길이, 대퇴골의 남녀 평균 비율과 측정법)

다리 길이 차이에 따른 스쿼트 자세 변화운동 자세가 왜 그렇게 중요하고, 도대체 무엇이 그렇게 다르길래 사람마다 자세가 달라야 할까요? 운동을 할 때, 사람마다 신체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kkumist.tistory.com


풀 스쿼트의 장단점 한눈에 보기

구분 장점 단점
근육 발달 대퇴사두근, 둔근, 햄스트링, 코어 활성화 무릎과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 증가
관절 가동성 발목, 고관절 가동성 향상 발목과 고관절 유연성이 부족하면 수행하기 어려움
스포츠 퍼포먼스 폭발적인 힘과 점프력 향상 일부 스포츠에서는 불필요한 깊이일 수 있음
부상 위험 올바른 자세 시 부상 예방 가능 자세가 무너지면 허리, 무릎 부상 위험 증가

 

 


올바른 풀 스쿼트 자세

  • 개인 체형에 맞는 발 넓이를 찾는다.
  • 발끝은 약간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조정한다.(고관절 전경과 후경에 따라서 발끝의 각도가 달라짐)
  • 힙힌지 패턴을 유지하며 앉는다. 
  • 무릎이 두 번째 발끝 방향과 일직선이 되도록 유지하며 일어난다.
  • 이때 자신의 가동범위와 가용범위를 혼동하지 않고 깊이 설정을 한다.

풀 스쿼트, 해야 할까?

데드리프트로 허리를 다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데드리프트로 허리 재활을 하는 사람도 있다.
마찬가지로, 스쿼트로 무릎을 다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스쿼트로 무릎 재활을 하는 사람도 있다.

문제는 운동 자체가 아니라, 운동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 있다.

 

풀 스쿼트는 장점이 많지만, 분명 단점도 있다. 자신의 체형과 운동 목표를 고려해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