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평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후경골근 기능부전(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PTTD)은 발과 발목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통증과 부종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일상적인 보행에서는 증상이 없더라도 달리기와 같은 격렬한 활동 중에는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발의 아치가 무너지고, 발 안쪽과 발목에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ACSM 2025년 최신 피트니스 운동 트렌드 리뷰, 24년과 한눈에 비교해 보기
미국 스포츠의학회(ACSM)에서 2025년 최신 피트니스 트렌드를 발표하면서 전 세계 운동 전문가와 피트니스 업계 종사자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올해 조사에서는 웨어러블 기술, 모바일 운동 앱,
kkumist.tistory.com
후경골근의 역할과 해부학적 구조
후경골근은 발 안쪽 세로 아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근육입니다. 이 근육은 경골과 비골의 후방 표면 및 골간막에서 시작되어, 힘줄이 내측 복사뼈를 지나 주상골 결절과 쇄기뼈, 입방골, 중족골의 기저부에 붙습니다. 후경골근은 발의 뒤침(supination)을 담당하며, 발의 아치를 높여 보행 시 효율적인 힘 전달을 돕습니다.


후경골근은 정강신경(L4-S3)의 지배를 받으며, 발목굴(tarsal tunnel)을 통해 다른 근육 및 신경과 함께 주행합니다. 만약 이 부위에서 신경 압박이 발생하면 발바닥 감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발목굴증후군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후경골근 기능부전이 미치는 영향
- 계단을 오르내릴 때 어려움
- 활동을 하면 통증의 증가
- 내측 세로 아치의 붕괴와 함께 발의 기형 발생 가능
- 한쪽 발뒤꿈치 들기 어려움
- 발의 평평화와 균형 잡기 어려움
- 심한 경우 발의 측면 통증과 절뚝거림 악화
후경골근이 제 역할을 못 하게 되면 발 주변의 인대와 관절낭이 약해지게 되고, 평발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비복근(GCM)의 효율이 감소하며, 보행과 균형 유지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후경골건 기능부전 원인 및 위험 요소
후경골건 기능부전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PTTD를 유발할 수 있는 원인 및 위험 요소 10가지입니다.
- 성별, 나이(중년 여성, 노인)
- 젊은 운동선수(발 또는 발목의 반복적인 스트레스)
- 과사용
- 고혈압, 비만, 당뇨병
- 인대 이완
- 평발
- 스테로이드 치료
- 발목 골절과 같은 과거의 외상
- 류마티스성 관절염
- 부주상골 증후군(Accessory navicular bone)
[맨발걷기 효능] 발 코어에 관한 이론적 설명과 내재근 강화 및 운동 방법
공원에서 신발을 벗고 맨발로 산책을 하는 사람들을 보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발의 안정성은 발의 코어 강화를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발은 체중을 지탱하고, 보행 시 안정성을 제공해야 하
kkumist.tistory.com
PTTD의 위험 요인과 단계별 특징
- 1단계: 염증과 경미한 부종, 후경골건의 손상은 없으나 통증 존재
- 2단계: 평발 변형 시작, 유연한 발뒤부(rearfoot), 발목뼈굴 통증
- 3단계: 단단한 발뒤부와 발의 외반 발생, 평발 변형 고착화
- 4단계: 발목 관절염 동반, 심한 통증과 기능 장애
PTTD 진단을 위한 주요 테스트

- The too many toes sign: 뒤에서 보이는 발가락 수를 확인해 진단
- Double leg heel rise: 양발로 까치발 서기, 발끝으로 설 수 있지만 통증이 있을 수 있음(2~4단계 환자는 뒤꿈치 들기 어려움)
- Single leg heel raise: 한쪽 발로 뒤꿈치 들기가 가능한지 평가
- 후경골근 근력 테스트: 발목의 Plantarflexion, inversion의 근력 평가를 합니다.

치료와 관리 방법
PTTD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초기에는 NSAID 복용, 활동 제한, 물리치료, 그리고 강화 운동을 통해 증상을 관리하며, 필요시 깔창, 보조기(AFO), 보행용 깁스 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3~4개월간 증상 완화가 되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후경골근 운동 방법
보행과 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후경골근 강화 운동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상을 참고하셔서 밴드를 이용한 후경골근 운동을 해보세요. 또한, 해당 근육의 개별적인 강화 운동뿐만 아니라 발목과 고관절 주변 근육도 함께 운동하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4060세대, 중장년 PT 전문 트레이너 용쌤
본인의 건강은 뒷전으로...언제나 앞만 보고 달려왔을부모님의 건강이 항상 걱정되었던 한 아들. 이제는 4060세대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응원합니다.대기업 임직원 전담 트레이너 출신이자,
kkumist.tistory.com
꾸준한 관리와 적절한 치료를 통해 성인 평발과 후경골근 기능부전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발과 발목 건강은 일상생활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기 증상이 나타날 경우, 조기에 관리하여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성인 평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후경골건 기능부전에 관한 원인과 어떤 운동이 효율적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근골격계 이야기 > 하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달, 반월상 연골 손상(Meniscus tear) 증상 및 재활 계획과 해부학적 내용 (21) | 2024.11.23 |
---|---|
슬개건병증(무릎뼈 힘줄염, Jumper's Knee)의 원인, 증상, 관리 및 재활 (5) | 2024.11.22 |
[맨발걷기 효능] 발 코어에 관한 이론적 설명과 내재근 강화 및 운동 방법 (4) | 2024.11.15 |
무지외반증 해부학과 교정 운동 방법(공부할 때 보세요) (3) | 2024.11.12 |
부위별 발목 통증의 원인, 12가지 가능성 (2) | 2024.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