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과 과학 그리고 공부

건병증(힘줄염) 연속체 모델이란? 논문 리뷰 및 개인적 생각

by 건강찬이 2025. 3. 28.
728x90

이번에 읽은 논문은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BJSM)에 게재된 "Revisiting the Continuum Model of Tendon Pathology: What is its Merit in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입니다. 이 논문은 건병증(힘줄염)의 병리학적 기전을 설명하는 연속체 모델(Continuum Model)을 중심으로 최신 연구 결과와 임상 적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사진 클릭: 논문 원본 바로가기


논문 개요 및 연구 배경

주요 연구 결과

연속체 모델 기반 건병증 재활 전략

개인적 생각 및 인사이트

 

논문 개요 및 연구 배경

건병증(Tendinopathy)은 스포츠 손상 중 매우 흔한 문제로, 주로 과사용(overuse)에 의해 발생합니다. Cook 등이 2009년 제안한 연속체 모델(Continuum Model)은 건병증의 진행을 세 단계로 구분했습니다:

  • Reactive Tendinopathy (반응성 힘줄병증): 과부하에 따른 초기 세포 반응과 부종
  • Tendon Dysrepair (힘줄 손상기): 세포외기질(ECM)의 변성과 회복 능력 저하
  • Degenerative Tendinopathy (퇴행성 힘줄병증): 조직 붕괴 및 비가역적 손상
논문은 연속체 모델을 최신 연구 관점에서 재평가하며, ‘통증(Pain), 구조(Structure), 기능(Function)’의 복잡한 상관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합니다.

주요 연구 결과

1. 힘줄 병리학 모델 비교

  • 콜라겐 파열 모델(Collagen Disruption Model): 콜라겐 섬유의 파열이 주요 원인이라는 가설이지만, 최근 연구는 ‘파열’보다 ‘섬유의 느슨해짐(loosening)’이 핵심임을 시사합니다.
  • 염증 모델(Inflammatory Model): 만성 건병증에서도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COX-2 등)이 관찰되지만, 이는 주된 원인이 아닌 보조적 반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힘줄 세포 반응 모델(Tendon Cell Response Model): 과부하 시 힘줄 세포(tenocytes)가 기질 리모델링을 유도하며, 연속체 모델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2. 통증, 구조, 기능의 복잡한 관계

  • 통증과 구조는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 심한 구조 손상이 있어도 통증이 없을 수 있으며, 경미한 손상에도 심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능 저하는 통증보다 구조와 더 밀접하다: 힘줄의 에너지 저장 및 방출 능력 저하가 기능 장애의 주요 원인입니다.

3. 부하(Load)에 대한 반응: 적응인가 병리인가?

정상적인 힘줄은 부하에 대해 콜라겐 합성 및 기질 리모델링으로 반응합니다. 그러나 부하가 과하거나 회복 시간이 부족할 경우, 힘줄 조직이 병리적 변화(퇴행성 병증)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허벅지 뒤쪽 통증의 원인, 근위 햄스트링 건병증에 관한 최신 자료(2024)

근위 햄스트링 건병증은 일반적으로 좌골이라고 불리는 좌골 결절에 부착되는 햄스트링 힘줄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입니다. 운동선수는 이 문제에 자주 노출 될 수 있지만 운동선수가 아닌 사람

kkumist.tistory.com

연속체 모델 기반 건병증 재활 전략

반응성 힘줄병증 (Reactive Tendinopathy):

  • 목표: 부종 및 통증 감소, 세포 반응 안정화
  • 전략:
    • 부하 감소 (Unload): 과도한 활동 중단 및 부분 체중 부하
    • 등척성 운동 (Isometric Exercise): 대퇴사두근 등척성 수축으로 통증 감소
    • 냉찜질 및 부종 관리 (R.I.C.E): 회복 촉진

힘줄 손상기 (Tendon Dysrepair):

  • 목표: 기질 리모델링 촉진 및 근력 회복
  • 전략:
    • 중부하 저속 저항운동 (Heavy Slow Resistance, HSR): 점진적 저항 운동
    • 수면 및 회복 최적화: 콜라겐 합성 촉진
    • 신경근 조절 훈련 (NM Control): 보수볼(Bosu Ball) 등 고유수용성 훈련

퇴행성 힘줄병증 (Degenerative Tendinopathy):

  • 목표: 남은 건강한 조직의 부하 용량 증가
  • 전략:
    • 고중량 저속 저항운동(HSR): 근력 및 힘줄 적응 유도
    • 통증 조절: 필요 시 충격파 치료(ESWT)나 프롤로테라피(Prolotherapy) 보조
    • 스포츠 복귀 시 기능성 테스트: 싱글 레그 홉(Single Leg Hop Test) 등 필수 평가

개인적인 생각 및 인사이트

이 논문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깨달은 것은 ‘부하 관리(load management)’‘운동 기반 재활’이 건병증 관리의 핵심이라는 점입니다. 통증 완화에만 집중한 치료는 단기적인 효과만 줄 뿐, 기능 회복과 부하 용량 증대 없이는 재손상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앞으로 재활 프로토콜 설계 시, 통증 완화에 그치지 않고 ‘기능적 회복(Function)’‘부하 용량(Load Capacity)’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연속체 모델’의 시각을 반영할 계획입니다.

 

슬개건병증(무릎뼈 힘줄염, Jumper's Knee)의 원인, 증상, 관리 및 재활

무릎 아래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인 슬개건병증(patellar tendinopathy)은 무릎 힘줄에 과도한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때 발생하는 과사용 손상입니다. 특히 점프나 빠른 방향 전

kkumist.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