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 건강 관리

허리, 골반 통증 없이 편하게 운전하는 방법(자세 체크리스트)

by 건강찬이 2025. 2. 17.
728x90

장시간 운전 후 허리나 골반이 불편하진 않으신가요?

저희 엄마는 저녁이면 항상 "왼쪽 골반이 아프다"라고 하셨습니다. 처음에는 병원도 다녀보고, 침도 맞아보고, 근막이완이나 고관절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도 해보았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알지 못하니 결국 통증이 다시 재발되었죠.

그러던 어느 날, 제가 보조석에서 엄마가 운전하시는 모습을 보게 되었는데요. 그때서야 엄마가 운전을 한 저녁에만 통증이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죠.

운전 중 발견한 문제점

  • 엉덩이를 카시트 중앙이 아닌 왼쪽으로 치우쳐 앉아 계셨고,
  • 그로 인해 왼쪽 골반이 오른쪽보다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운전을 하고 계셨습니다.
  • 몸통과 운전대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팔과 어깨에 불필요한 긴장이 생겼고,
  • 결과적으로 허리와 고관절에 지속적인 부담이 가해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였습니다.

운전 시 올바른 자세의 중요성

  1. 장시간 앉아 있는 자세는 근골격계 부담을 증가시키므로, 올바른 자세 유지, 정기적인 휴식, 자주 움직이는 것이 필수적
  2. 특히 허리와 목, 어깨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
  3. 잘 못된 운전 자세를 유지하면 디스크 문제, 허리 통증, 골반 불균형, 목과 어깨 결림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


건강을 지키는 운전 자세 조정법

1. 시트 높이

엉덩이가 무릎보다 낮으면 허리에 안 좋기 때문에 무릎과 엉덩이가 같은 높이에 있거나 엉덩이가 약간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해 주세요. 참고로 엉덩이 높이가 지나치게 낮으면 시야 확보가 어렵고, 너무 높으면 목과 어깨에 부담감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엉덩이 위치

좌석 깊숙하게 앉아서 허리가 등받이에 밀착되어야 합니다. 특히 저희 엄마처럼 엉덩이가 한쪽으로 치우 지지 않도록 중심을 맞춰서 앉아 주세요. 엉덩이가 좌석과 등받이에 밀착되지 않으면, 허리와 골반에 과도한 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등받이 각도

30~40도 정도 뒤로 기울여서 허리가 자연스럽게 지지되어야 합니다. 뒤로 너무 젖혀지면 척추의 부담 증가, 반대로 너무 세우면 허리와 목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할 수 있어요.

4. 허리 지지대 활용

운전 중 허리에 자연스러운 곡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허리 쿠션을 활용해 보세요. 요추만 잘 지지되어도 허리의 피로와 통증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5. 운전대(스티어링 휠) 거리

손목이 핸들 위쪽에 닿을 정도로 조정합니다. 이때 팔꿈치가 약 120도 정도로 살짝 구부러진 상태가 이상적이라고 해요. 핸들이 너무 가까우면 팔과 어깨가 긴장되고, 너무 멀면 허리를 구부려야 해서 허리에 부담감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6. 머리 받침(헤드레스트)

머리를 최대한 머리 받침대에 가깝게 배치합니다. 머리 받침 높이는 머리의 중앙 또는 약간 위쪽에 위치해야 사고 시 목 보호가 가능해요.

7. 페달과 무릎 위치

페달을 밟을 때 무릎이 너무 펴지지 않도록 조정합니다. 무릎이 지나치게 펴진 상태는 고관절과 허리에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운전 후 오른쪽 무릎 통증의 원인 4가지와 예방 방법과 운전 자세

장시간 운전 후 오른쪽 무릎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꽤 많은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시간 운전 시 오른쪽 무릎에 통증이 생기는 원인과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시

kkumist.tistory.com


장시간 운전 시 피로를 줄이는 방법

잘못된 자세로 운전하는 것보다는 낫겠지만, 사실 아무리 바른 자세를 유지하더라도 오랜 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 자체가 근골격계 건강에 좋지는 않습니다. 우리 몸을 건강하게 사용하려면 가능한 한 자주 움직여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운전 중 적용할 수 있는 작은 움직임

  • 핸들을 잡는 위치를 주기적으로 바꿔보세요.
  • 등받이의 각도를 조금씩 조절해보세요.
  • 차선을 변경할 때, 목을 평소보다 더 크게 회전시켜 움직임을 만들어보세요.
  • 운전 중간중간 허리와 어깨를 가볍게 스트레칭해보세요.

이렇게 의식적으로 몸을 움직이면, 근육과 관절의 부담을 줄이고 피로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저희 엄마의 통증이 왜 반복되는지 몰랐지만, 운전 자세를 바로잡은 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좌석과 핸들의 위치를 조정한 것만으로도, 골반과 허리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었던 거죠. 하지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 만큼 중요한 것은 자주 움직여 주는 것입니다. 혹시 운전으로 인해 골반이나 허리가 아프신 분들이 계시다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세요. 그리고 작음 움직임이라도 좋으니 자주 움직여 보세요!

더 다양한 관련 내용은 건강찬이 블로그를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운전할 때 왼쪽 무릎, 골반 통증(코일매트)

운전할 때 왼쪽 무릎이나 골반에 통증이 생기는 분들이 계신가요? 그리고 혹시 코일 매트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어떻게 알았냐고요? 저도 알고 싶지 않았습니다,,, 저는 2년 전에 세단에서 SUV차

kkumist.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