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 건강 관리

인바디 SMI와 위상각 해석|근감소증과 세포 건강의 정상 수치 정리

by 건강찬이 2025. 5. 22.
728x90

보통 인바디로 체성분 분석을 받을 때, 체중이나 체지방률, 근육량 같은 수치를 주로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인바디 검사에서 놓치기 쉬운 항목 중에는 SMI(체질지수)전신 위상각(Phase Angle)처럼
신체 기능성과 세포 건강 상태까지 평가할 수 있는 핵심 지표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근감소증 예방과 세포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준 수치와 해석법을 함께 정리해 봅니다.


✅ SMI (체질지수): 근감소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SMI는 팔다리의 골격근량을 키(m)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체중이나 체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기능적인 근육량이 충분한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특히 고령자, 체중 감량 중인 사람, 운동 초보자 등에게는 근감소증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어 중요합니다.

▶ SMI 정상 범위 (남녀 기준)

구분 남성 기준 (kg/m²) 여성 기준 (kg/m²)
정상 ≥ 7.0 ≥ 5.7
경도 근감소 의심 6.0 ~ 7.0 5.0 ~ 5.7
근감소증 위험 < 6.0 < 5.0

 

해당 인바디 자료에서는 SMI가 8.8kg/m²로 확인됩니다.
남성 기준으로는 충분한 근육 상태, 여성 기준으로도 운동을 병행하는 사람에게서 관찰되는 상위 수준입니다.

 

 

근감소증 검사 방법과 증상, 운동 종류

근감소증(Sarcopenia)은 주로 고령자에게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으로, 근육량과 근력의 점진적인 감소가 특징입니다. 진단은 근력, 근육량, 그리고 신체 기능 저하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근육 감

kkumist.tistory.com


✅ 전신 위상각 (Phase Angle): 세포 건강과 면역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

전신 위상각은 체내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세포막이 얼마나 잘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세포의 구조와 기능이 건강한 상태일수록 위상각이 높아지며, 이는 회복력·면역력·영양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위상각 정상 범위 (성별·연령별 기준)

연령대 남성 정상 범위 (°) 여성 정상 범위 (°)
20~39세 7.0 ~ 9.0 6.0 ~ 8.0
40~59세 6.0 ~ 8.0 5.5 ~ 7.5
60세 이상 5.0 ~ 7.0 4.5 ~ 6.5

 

해당 결과에서는 전신 위상각이 7.7°로 나타났으며,
20~30대 남성 기준으로는 정상 상위권, 여성 기준으로도 건강한 상태를 반영하는 수치입니다.

위상각이 높다는 것은 세포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염증 위험이 낮고 회복 능력이 좋은 상태로 평가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 핵심 수치 요약

항목 측정값 기준 해석
SMI 8.9kg/m² 근감소증 위험 없음, 근육 상태 우수
위상각 7.6° 세포 건강 양호, 면역·회복력 안정

🧩 체중보다 중요한 ‘기능과 회복력’을 확인하는 법

체중이나 체지방률만으로는 진짜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SMI와 위상각은 신체 기능과 세포 상태를 함께 확인할 수 있어,
단순한 감량이나 근육량 측정보다 훨씬 실질적인 건강 지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바디를 자주 측정하고 있다면, 다음 검사에서는 SMI와 위상각 수치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
건강의 질을 높이고, 근감소증이나 세포 기능 저하를 조기에 예방하는 데 중요한 힌트가 될 수 있습니다.


📌 추가 팁이 필요하다면?
SMI나 위상각 수치를 바탕으로 한 운동 루틴, 식단 조절, 영양 보충 방법 등도 함께 정리해 드릴 수 있어요.
댓글이나 메시지로 언제든지 요청 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