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이야기/운동과 과학 그리고 공부

탄수화물의 형태 총정리|글루코스부터 글리코겐까지 쉽게 이해하기

by 건강찬이 2025. 5. 26.
728x90

탄수화물은 건강 관리나 식단 조절을 할 때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주요 영양소입니다. 하지만 포도당, 전분, 글리코겐 등 다양한 용어들이 혼용되면서 혼란을 겪는 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탄수화물이 어떤 구조로 나뉘고, 각각의 명칭은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단당류 (Monosaccharide) – 탄수화물의 기본 단위

  • 글루코스(Glucose): 혈당의 주성분이며 세포에서 직접 에너지로 사용됩니다.
  • 프럭토스(Fructose): 과일과 꿀에 포함된 당으로, 간에서 글루코스로 전환됩니다.
  • 갈락토스(Galactose): 주로 젖당(lactose)을 통해 섭취됩니다.

2. 이당류 (Disaccharide) – 단당류 두 개가 결합한 형태

  • 설탕(Sucrose) = 글루코스 + 프럭토스
  • 젖당(Lactose) = 글루코스 + 갈락토스
  • 맥아당(Maltose) = 글루코스 + 글루코스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당류로, 대부분의 가공식품과 유제품에 포함됩니다.


3. 다당류 (Polysaccharide) – 다수의 당이 연결된 복합 탄수화물

  • 전분(Starch): 식물의 저장형 탄수화물로, 쌀, 감자, 고구마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 글리코겐(Glycogen): 동물의 에너지 저장형으로, 간과 근육에 주로 저장됩니다.
  • 셀룰로오스(Cellulose): 식이섬유 역할을 하며, 인체에서 소화는 되지 않지만 장 건강에 유익합니다.

4. 탄수화물의 체내 대사 경로

섭취한 탄수화물은 대부분 소화 과정을 거쳐 글루코스 형태로 흡수됩니다. 이 글루코스는 혈액을 통해 세포로 이동하고, 즉시 에너지원으로 쓰이거나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됩니다.

  • 간 글리코겐: 혈당이 낮을 때 글루코스를 방출해 혈당을 유지합니다.
  • 근육 글리코겐: 운동 시 해당 근육 내에서 직접 사용됩니다.

에너지 소비가 많을 때, 글리코겐은 분해되어 다시 글루코스로 전환되고, 이는 ATP 생산을 통해 에너지로 활용됩니다.


5. 탄수화물 관련 용어 정리

용어 설명
Glucose (글루코스) 혈당의 주성분으로, 에너지원
Dextrose (덱스트로스) 글루코스의 또 다른 명칭 (주로 식품, 의약품에 사용)
Blood glucose (혈당) 혈액 내 글루코스 농도
Glycogen (글리코겐) 간과 근육에 저장되는 글루코스의 집합체
Starch (전분) 식물의 저장형 탄수화물
Cellulose (셀룰로오스) 소화되지 않는 식물성 섬유소

 

 

다이어트 중 손이 떨리는 이유? 저혈당 증상과 대처법 정리

여름이 다가오는 요즘 헬스장에서 일하다가 보면간헐적 단식이나 탄수화물을 제한하는 식단을 병행하는다이어터 분들 중에서"공복일 때 손이 덜덜 떨려요", 또는 "운동하고 나면 손이 이상하게

kkumist.tistory.com


정리하며

탄수화물은 형태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몸에서의 역할도 다릅니다. 글루코스처럼 직접적인 에너지원이 되는 것도 있고, 글리코겐처럼 저장 형태로 존재하는 것도 있습니다. 이 구조적 차이를 이해하면 식단 구성이나 운동 계획을 세울 때 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해집니다.

728x90